728x90

맞춤법은 항상 제대로 알고있다고

생각을 하기때문에 본인이 알던 내용과

다른 글자를 보게되면 의문을 갖게 됩니다.


실제로 한글맞춤법은 종종 개편되기때문에 

어느순간부터 내가 알고있는 단어가

틀린 맞춤법으로 바뀔때가 있지요.



오늘은 옛말이 포함되어있는 쫓다 쫒다 좇다

세가지의 단어를 사용하는곳과

그 의미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쫓다입니다.

쫓다는 총 3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세가지 의미 중 첫번째의미는 [추격]의 의미입니다.

예를들면 '경찰이 범인을 쫓고 있다.' 라는 의미죠

대부분 이런 의미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의미입니다.



두번째 의미의 예시는

'비둘기가 몰려들어 쫓아내다.' 이며

세번째 의미는

'업무를 하기 위하여 잠을 꽃아내다.' 입니다.


우리가 아는 의미로 쓰는단어는 대부분 위의 쫓다 입니다.


두번째로 말씀드릴것은 쫒다 입니다.


이 글을 보는분들 중 위의 [쫒다]라는 단어를

전혀 알지 못한분들이 있으실겁니다.

이 단어는 쉽게 표현하면 조선시대이후로는 쓰이지 않는 단어이며

상투를 틀어 맨다는 의미입니다.

'상투를 쫒다' 라고 쓰입니다.



세번째는 좇다인데요.

대부분 사람들이 당연히 잘못된 단어인줄 아는 단어입니다.

실제로 몇몇 사람들은 쫓다의 옛말로 인지하시는분들도 있는데요.

틀린말은 아니지만 의미자체가 다른 단어입니다.


쫓다와 의미가 미세하기 다르기때문에 의미를 비교하며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쫓다와 좇다는 '따라가다'의 의미를 쓰는데요.

몸같이 실체가 있는것이 따라가면 쫓다

실체가 없는것이 따라간다면 좇다가 맞습니다.



예시로 비교를 다시 해보자면

[경찰이 도둑을 쫓아가다.]

위 의미는 실체가 있는 경찰이 실체가 있는 도둑을 추격하기에

쫓아가다가 맞습니다.


[선배의 생각을 좇아본다.]

[그는 명예만을 좇는다.]

이런식으로 실체가 없는것을 따라갈때 쓰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잘 알면서도, 알지 못했던 단어를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728x90

이번에는 틈틈히 틈틈이 두 단어 중 맞는 표현과

안돼 안되 않돼 이 세가지 중 맞는 표현,

그리고 써야하는상황을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실제로 저도 굉장히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은 단어이므로

저는 안내드리며 다시 한번 공부하고

궁금해서 찾으신분들은 확실히 알아가면 좋겠습니다.



1. 틈틈이 틈틈히

이 두개의 단어는 모두 '틈새', '잠깐잠깐'등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보통 쓰이는곳은 [쉬는시간에 틈틈히/틈틈이 공부를 한다.] 이런식으로 쓰입니다.

예문을 보시면 어떤게 맞는지 느낌 오시나요?

기본적으로 틈틈히,틈틈이 모두 한국어로 발음하면 [틈틈히]가 맞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틈틈히'는 없는 단어이며 무조건 '틈틈이'가 맞습니다.

다만 인터넷에 틈틈히를 쳐보시면 굉장히 많은 글들이 나오고있죠.

인터넷이 발달하고 인터넷 언어가 많아지면서

발음대로 말하는 습관들이 생기다보니

더욱 잘못된 단어를 쓰게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고서나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에는 꼭 맞춤법을 맞춰 쓰시기 바랍니다.

- 없는 시간을 쪼개서 틈틈이 공부했습니다.



2. 안돼 안되 않돼

제가 평소에 게임을 좋아하는데요.

게임을 하다보면 정말 많이들 잘못쓰시는게 이 단어들입니다.

실제로 요즘엔 일부러 잘못써서 어그로를 끄는 드립을 하시는분들도 있습니다.

그럼 이 단어들은 언제 써야하며 어떤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일단 안돼와 안되 두가지는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따라서 사용하는경우가 달라집니다.

일단 -되 가 붙는 단어들은 그 단어로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

-되 뒤에는 -어 or -고 같은 '어미'를 붙여야 하는 것이지요.

예시로 붙여보면 안되어, 안되고 는 맞는 표현이라는 것 입니다.



그럼 안돼는 어떨 때 쓰는것일까요?

-되 와 다르게 -돼는 그 단어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애매한부분이 있기때문에 좀 더 정확한 구분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안돼를 써야하는지, 안되를 써야하는지를 정확히 구분하고싶으시다면

2가지 구분법이 있는데요.

우선 첫번째로는 [돼나 되] 대신 [해나 하] 를 넣어보시면 됩니다.

'하'를 넣었을 때 이상하지않으면 '되'가 맞고

'해'를 넣었을 때 괜찮으면 '돼' 입니다.

두번째로는 [돼] 대신 [되어]를 넣었을 때 맞다면 [돼]를 쓰는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보았습니다.

1번은 돼는, 2번은 되는 을 썼습니다.

첫번째 구분법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1. 너가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는 / 2. 너가 공부를 해야해는 이유는

1번이 맞는 표현 같기 때문에 위 문장에서는 '되'가 맞습니다.


두번째 구분법으로도 확인해보면

1. 너가 공부를 해야 되어는 이유는 (돼 대신 되어)

이상하죠?? 그래서 '되'가 맞습니다.

이렇게 두가지는 정확하고 좋은 구분법이 있으니 꼭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마지막 단어로는 않돼 인데요.

확실하게 않돼는 없는 단어이기때문에 무조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주변에서 않돼 라는 단어를 쓰신다면 꼭 고쳐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728x90

맞춤법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직장생활에서 보고서를 쓸 때도 중요하지만,

평상시 본인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 중 맞춤법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생각보다 맞춤법을 틀리는 분들도 많고,

맞춤법을 틀리는 사람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분들도 많죠. 

그래서 오늘부터 맞춤법을 쉽게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어떻게, 어떻게 와 낫다, 낳다의 차이와 구분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어떻게, 어떡해 

사실 저는 이 두 가지보다 더욱 심각한 건 어떻해, 어떻하지 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많은 분들이 싫어하는 맞춤법이기도 하지만

생각보다 주변에서 너무 많이 틀리는 맞춤법입니다. 

우선 [어떻] 뒤에 ㅎ는 절대 나오지 않습니다. 

고로, 어떻해, 어떻하지는 없는 단어입니다. 


그럼 어떻게와 어떡해는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요? 

기본적으로 어떡해는 어떻게 해 와 같습니다.

(정확한것은 어떻게 해 입니다.)

결론적으로는 같은 단어를 줄여말한건데요.

그래도 어떡해는 그 단어 자체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 예문에서 '어떡해'를 모두 '어떻게 해'로 바꾸어도 괜찮습니다. 

다만, 어떡해는 위와 같이 대답, 또는

문장의 가장 마지막에 쓰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대부분은 전부 어떻게를 쓰며, 다시 한번 어떻해, 어떻하지는 없는 단어임을 말씀드립니다. 



2. 낫다, 낳다 

개인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두 번째로 많이 틀리는 단어가 낫다, 낳다 라고 생각합니다. 

이 단어들은 서로 뜻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구분해서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단어 뜻을 살펴보면 

낫다 : 질병, 상태 등이 '나아지다'를 의미함 

(쉽게 구분하려면 '나아, 나아지다'를 넣어보면 좋습니다. 

낳다 : '출생'을 의미합니다.



보통 '딸을 낳다.' 이런 식으로 낳다는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잘 없습니다. 

하지만 낫다를 잘못 쓰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반드시 내가 너보다 낫다. 가 맞습니다. 

(낳다로 쓰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이렇게 오늘의 맞춤법을 마무리하며 다음에도 계속해서 우리 한글을 알아가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맞춤법을 잘 쓰려면 그 단어들의 뜻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많이들 헷갈려하시는 묻다 뭍다 뭇다 의 뜻과 사용하는 상황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뭍다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뭍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뭍다는 없는 단어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뭍다를 쓰시는 경우엔 김칫국물이 옷에 뭍다. 이런식으로

무엇인가 오염물질이 내 몸, 혹은 내 옷에 튀었을 때 쓰시곤 합니다.

그러나 굉장히 잘못된 표현방법이며, 정식 표현방법은 이후 말씀드릴

묻다를 사용하는것이 맞습니다.



2. 묻다

묻다는 정말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어지간한건 다 묻다를 쓰셔도 크게 틀리는 경우가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뭇다를 사용해야할 때 묻다를 쓰는분들이 있다보니

묻다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첫번째 의미 : 물어보다. (상대에게 대답을 요구하는 행위)

위 의미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책같은곳에 쓰는경우가 대부분인데요.

- 그가 묻길래 / - 뭘 먹었는지 묻다. 이런식으로 씁니다.


두번째 의미 : 오염물질이 옷에 튀어 오염되는 등, 오염되는 의미

대부분 뭍다라는 잘못된 단어로 생각하시는 의미입니다.

- 이런 물질이 옷에 묻다 / 같은 의미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세번째 의미 : 무엇인가를 (땅에) 묻어두다. / 물건등을 드러나지않게 숨기다.

이 부분은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묻고 더블로 가. / 담아두고 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의미를 가진 묻다.

뜻이 3가지나 있는 단어이기때문에 대부분 묻다를 사용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3. 뭇다

사실 뭇다는 그렇게 많이 쓰이지 않습니다.

뭇다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이어붙이다 / 모아서 붙이다. 인데요.

보통 옛날 표현이기때문에 - 두레를 뭇다 이런식으로

굉장히 오래된 표현방법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맺다 가 있는데요.

A와 B가 친구관계를 맺다. 와 같이 철수와 민수가 친구관계를 뭇다. 라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3가지 착오가 많은 단어들의 의미를 알려드렸으며

예시를 통해 앞으로 헷갈리시지 않도록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728x90

친구와 대화할 때 조차 신경써야하는것이 있습니다.

바로 맞춤법인데요. 맞춤법은 상대가 나를 판단하는데 굉장히 큰 요소입니다.

그렇기에 오늘 알아볼 두가지 맞춤법비교를 반드시 익히셨으면 좋겠습니다.

 

 

1. 얘기 / 예기

이 두개의 단어는 전혀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 단어들을 쓸 때 모음의 위치가

키보드 자판에서 바로 옆에있기때문에 잘못칠수도 있긴 합니다.

 

단어의 뜻은 이렇습니다.

얘기 : 누군가와 대화하는 행위, '대화'

(ex. 나 친구랑 얘기중이야.)

 

 


 

종종 잘못쓰시는 분들을 보면 '아기'를 뜻하는 애기를 얘기로 쓰시는분들이 있더군요.

 

다음은 예기 입니다.

예기는 사실 '예기' 이 두글자로 쓰지않고 [예기치못한 일]로 쓰입니다.

동의어로는 '돌출되다'가 있습니다.

 


2. 부딪치다 / 부딪히다

이 두가지는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내가 행위를 하는지, 당하는지에 따라서 쓰임이 달라집니다.

의미를 보자면 두가지 모두 '부딪다'를 강조하는 단어인데요.

 

부딪치다는 내가 의도한 부딪침 이며

부딪히다는 내가 부딪침을 당한 것 입니다.

예문으로 확인하겠습니다.

 

 

위에서 보이듯 서로 무언가가 부딪치는 순간에

나의 과실이 있으면 부딪치다.

그렇지않고 일방적으로 당하면 부딪히다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오늘도 두가지의 헷갈리는 단어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